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물가정점 물가상승률 줄었지만 추석물가 어떻게 되나

반응형

서민들의 물가 상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다시 한번 기록했지만

상승 속도가 조금이나마 느려지고 있다.
6%를 훌쩍 뛰어넘은 소비자물가가

가을바람이 불면 조금 잦아들지 않을까 기대를 해보는 이유다.
다만 이는 상승 속도가 느려지는 것일 뿐

6%대 고물가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전월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 2개월째 둔화
통계청은 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8.74로

작년 같은 달보다 6.3% 올랐다고 2일 밝혔다.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들어 그야말로 파죽지세로 올랐다.

1월과 2월 3% 후반대에서 머물다가

3월과 4월은 4%대, 5월은 5%대, 6월에는 6.0%까지 올랐다.
그리고도 7월에 다시 한번 최근 고점을 경신

6.3%까지 오른 것이다.

 

하지만 물밑에서는 조용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올해 들어 1월과 2월에 0.6%, 3~5월에 0.7%를 기록하던 전월 대비

상승률이 6월에 0.6%, 7월에 0.5%로 조금씩이나마

둔화하는 흐름을 보이기 시작했다.

상승률이 확대되는 기울기가 점차 둔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제유가 100달러 남짓으로…대외요인 약화

 

이유는 그동안 소비자물가 상승을 추동했던

주력 엔진인 국제유가 등 대외변수가 최근 들어 잠시 안정을 찾은 탓이다.
6월 중순께 배럴당 120달러에 육박했던 두바이유 가격은

최근 들어 100달러를 소폭 상회하는 수준으로 내려왔다.
이에 따라 7월 중 석유류가 물가 상승에서 차지하는 기여도는

1.59%포인트(p)로 전월(1.74%포인트)보다 낮아졌다.
국제 원자재 가격, 곡물 가격도 유사한 흐름이다.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진 탓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연구실장은 "7월 소비자물가는

폭염에 따른 신선식품 가격 불안 등이 더해지면서 고점을 경신했지만

석유류 가격이 둔화하는 등 변화가 있었다"면서

"7월과 8월 중 한 달이 물가 고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김희재 물가정책과장은

"그간 물가상승을 주도해온 국제유가가 다소 하락했고

유류세 인하 등이 더해지면서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이

1천800원대에 진입하는 등

석유류의 물가 상승 압력이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통계청 "7% 가능성 크지 않아"…한은 "당분간 6%대 유지될 듯

정부 안팎에선 물가 정점론이 서서히 흘러나오는 분위기다.
8∼9월 중 고점을 더 경신할 가능성이 있지만

가을을 기점으로 정점을 찍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그동안 물가 상승을 주도했던 대외 요인들이

다소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

다음 달은 6%대 이하로 가진 않겠지만

7%대가 발생할 가능성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현재의 유가 흐름과 여러 상황을 보면

9월 말 또는 늦어도 10월 정도가 물가 정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최근 발언한 바 있다.

다만 이런 정점론에는 몇 가지 가정이 붙는다.
추 부총리는 9∼10월 물가 정점 전망과 관련해

"러시아 문제 등으로 다시 유가가 반등·폭등하거나

곡물, 공급망 수급의 애로가 현재 상태보다

훨씬 더 나빠지지 않는다는 대외적인 요건을

전제로 드리는 말씀"이라고 부연했다.

추석을 앞두고 기상 여건에 따라 

농축수산물 가격이 급등락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변수다.
그렇다고 물가가 당장 내려간다는 것은 아니다.
한국은행은 이날 물가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진 가운데

고유가 지속, 수요측 물가 압력 증대 등으로 앞으로도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6%를 상회하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반응형